로고 로고

로고

로그인 회원가입
  • 소식/자료
  • 라움칼럼
  • 소식/자료

    라움칼럼

    [최준현 변호사] [노동전문변호사] 이력서 허위기재(경력·학력사칭)와 해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라움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428회   작성일Date 25-07-21 14:11

    본문

    88503622f78194d02d62607777c79c67_1753074436_9209.png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조력자 최준현 변호사입니다.


    88503622f78194d02d62607777c79c67_1753074471_506.jpg
     

    오늘은 이력서 허위기재 (경력·학력 사칭)와 해고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88503622f78194d02d62607777c79c67_1753074500_1541.png

    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할 때 경력이나 학력을 요구하는 이유는

    단순히 업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 아닌

    이는 노동조건의 결정, 직무 배치, 노무관리의 기준이 되는 것은 물론

    근로자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는 데에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았습니다.


    88503622f78194d02d62607777c79c67_1753074526_6743.jpg
     

    기존 대법원경력사칭에 대하여 그 자체가 정직성에 대한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여 전 인격적 판단을 그르치게 하는 것이므로,

    기업질서문란의 현실적 결과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징계사유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전에 그러한 사실을 알았다면 근로계약을 해지하였거나

    적어도 같은 조건으로는 근로계약을 하지 않았을 것으로

    인정되는 정도의 것이라면 징계해고 사유로 정당하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2012년 대법원

    88503622f78194d02d62607777c79c67_1753074605_045.png
     

    즉, 대법원은 해고의 정당성 판단 시점을 채용 당시에서 해고시점까지로

    확장하였고 객관적 제반사정까지 포함하였습니다.


    88503622f78194d02d62607777c79c67_1753074629_7399.jpg


    채용절차 과정에서 허위 경력이 발견된 경우에는 채용 자체를 취소하면 됩니다.

    그러나 그러나 채용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난 뒤에야

    허위 사실이 드러나고 그동안 근로자가 성실히 일해왔으며

    업무에도 지장이 없었던 경우에는 상황이 달라집니다.


    1. 근로자가 채용된 이후 일정 기간 동안 성실히 근무하고 업무에

    별다른 지장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뒤늦게 허위 경력이 드러나 그 이유만으로 해고하는 경우

    앞서 살펴본 대법원 판결에 의할 때 일정기간동안 해당 근로자가

    성실하게 근무하고 회사도 근로자에 대한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근로자와 사용자간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경우 해고의 정당성이 부정될 수 있습니다.

    2. 근로자가 허위로 기재한 경력이 실제 담당한 업무와 전혀 무관하고

    허위로 기재한 경력상의 기술이 담당업무에 필요하지 않는 경우

    한편, 근로자가 허위로 기재한 경력과 근로자가 실제 담당한

    업무 간의 연관성도 해고의 정당성 판단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만약 허위로 기재한 경력상의 기술이 담당업무에 필요하지 않은 경우 해고의 정당성이 부정될 수 있습니다.

    88503622f78194d02d62607777c79c67_1753074746_1858.jpg

    허위경력을 기재하여 입사하는 것은 신뢰에 반하는 행위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직원 채용당시 허위경력 기재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적절한 시기를 놓쳐 상당기간이 지나

    허위경력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용 이후 해고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사정을 고려하여

    해고의 정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바 해고 관련 리스크는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니다.


    88503622f78194d02d62607777c79c67_1753074808_5768.jpg

    따라서 허위 경력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 경우

    단순히 허위 사실이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해고를 단행하기보다는

    해고의 정당성이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를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안의 구체적인 정황에 따라 법적 판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법률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시기 바랍니다.


    88503622f78194d02d62607777c79c67_1753078258_3533.jpg


    허위경력 문제로 고민되신다면

    형사·노동 전문 변호사

    최준현 변호사와 먼저 상담해보세요.


    같이 고민하고 최선의 방안을 찾아드리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