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종식 변호사] 집합건물 타일시공의 하자! 타일 전체가 아닌 80% 정도만 접착제를 붙인 경우, 이게 타일 시공의 하자가 될…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십니까. 부종식 변호사입니다.
집합건물의 공용부분이나 전유부분에서 타일 시공이 이루어질 때, 종종 하자 여부가 문제가 되곤 합니다.
특히 입주 초기나 몇 년이 지나 타일이 떨어져 나가거나 균열이 발생하면, 입주민들은 “시공 자체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라는 의문을 제기합니다.
그렇다면 타일 뒤편에 접착제를 충분히 바르지 않은 경우, 이것을 하자로 볼 수 있을까요?
실무에서 중요한 기준 중 하나는 대한건축학회의 시공 기준입니다.
대한건축학회는 타일 뒷채움, 즉 타일 뒤에 접착제가 충실히 채워져 있는 비율을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
80% 이상 뒷채움이 되어 있다면 하자로 볼 수 없다고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접착제가 타일 전면에 빈틈없이 100% 도포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80% 이상 충분히 시공이 이루어졌다면 시공상 하자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
이는 합리적인 기준이기도 합니다. 건축 현장에서 타일을 일일이 100% 완벽하게 접착제로 덮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습니다.
작은 공기층이나 틈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타일 전체의 접착면적이 100%가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80% 이상 충실히 접착제가 발라져 있다면, 기능적으로나 안전상으로 문제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이를 하자로 보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타일 시공에서 하자가 문제 되었을 때는 단순히 몇 장의 타일이 들뜨거나 떨어졌다는 사정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시공 상태와 뒷채움 비율을 종합적으로 따져봐야 합니다.
만약 시공 당시 뒷채움 비율이 80%를 현저히 밑돌았다면, 이는 시공 기준에 미달하는 것이므로 명백히 하자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반면, 80% 이상 충실히 뒷채움이 되어 있었다면, 이후 발생하는 하자는 부수적 요인(예: 건물 구조적 움직임, 지진, 바닥의 충격, 혹은 외부 환경 변화 등)에 따른 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집합건물에서 타일 시공 하자를 다툴 때는 대한건축학회의 기준을 준거로 삼아 80% 이상 뒷채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기준은 법원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기술적 근거로 인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향후 하자 분쟁이 발생했을 때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정리하면, 타일 시공은 100% 접착제를 바르지 않았다고 해서 곧바로 하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80% 이상 뒷채움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관건이며, 이 기준에 따라 하자 인정 여부가 갈리게 됩니다.
따라서 분쟁 상황에서는 반드시 전문가의 감정을 통해 시공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링크
-
https://youtu.be/4ppRAMp4p2Q
510회 연결
- 이전글[부종식 변호사] 건물 공용부분에 피트니스 센터 입주하려고 할 때, 위탁운영계약을 체결하여야 할 것인지, 아니면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여야 할 것인지? 25.10.14
- 다음글[임영근 변호사] 용인 타운하우스 도로지분 소유권이전등기청구 사건 성공사례 25.10.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