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팜] 법조인·의료인 모두 "포괄수가제 개선해야" 주장 - 부종식 변호사
페이지 정보

본문
포괄수가제 등 건강보험제도에 대해 인권적 관점에서 접근한 토론회가 개최됐다.
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회 산하 의료인권소위원회는 지난 22일 건강보험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부종식 변호사(변협 의료인권소위원)는 "포괄수가제는 환자의 기본권인 의료선택권·알권리·소비자의 권리를, 의사의 기본권인 의료수행권·직업수행의 자유·재산권을 심각하게 제한하거나 침해할 우려가 있는 제도"라고 지적했다.
부 변호사는 "환자는 의료소비자로서, 의사는 의료제공자로서 각각 의료기본권을 보유하고 있는 주체"라며 "좋은 장점이 있는 제도라 하더라도 기본권을 제한하거나 침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서는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
때문에 제반 문제점을 고려할 때 포괄수가제 도입은 재고되거나 혹은 적용대상과 범위의 전면적인 확대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날 이상주 의협 보험이사도 참여해 포괄수가제 의료인권 침해 사례를 소개했다.
이 보험이사는 "의료현장에서 포괄수가제로 인한 환자와 의료사의 의료인권 침해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며 "이 제도는 반드시 재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괄수가제의 대표적인 인권침해 사례로 산부인과 수술시 사용하는 유착방지제를 예로 들었다.
이 보험이사는 "유착방지제는 제왕절개 등 자궁수술시 다른 장기와의 유착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치료재료"라며 "가격이 상당하기 때문에 포괄수가로 묶인 의료현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여 환자의 인권이 침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음 사례로 중증환자 기피현상을 꼽았다. 복합상병이나 합병증 등 중증환자가 내원했을 때, 의료기관에서는 원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가로 인해 수술을 꺼릴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입원기간을 선택할 수 없다는 점 또한 의료인권 침해 사례의 하나로 꼽았다.
이 보험이사는 "포괄수가제는 최선의 치료보다 최선의 비용을 중시해 과소진료와 의료의 질 저하를 유발하기 때문에,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포괄수가제의 의료인권 침해에 대한 반론으로, 안선영 변호사(건보공단 선임전문위원)는 "포괄수가제 도입과정에서 시범사업까지 포함한 15년간의 실증적 자료가 존재하고, 의료계 의견수렴 절차를 거쳤다"며 "환자와 의료인의 기본권 침해나 제한이 문제될 소지는 많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혜경 기자 (hgrace7@dailypharm.com)
관련링크
- 이전글[MBC NEWS] 법원, 잦은 '잔소리 메모'는 이혼사유 - 부종식 변호사 11.10.29
- 다음글[코메디닷컴] 인권침해 사각지대 ‘포괄수가제’ 개선해야 - 부종식 변호사 12.12.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